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정보

고구마 농사의 수익과 장단점 - 귀농 추천 작물 시리즈 2편

by BongNamYI 2022. 7. 18.
반응형

고구마 농사는 귀농 작물로 많이 추천받는 대표적인 작물 중 하나입니다. 우리 생활에도 매우 익숙하고 여러 매체에서도 귀농 작물로 추천되고 있는 고구마로 농사를 지었을 경우의 장단점과 매출, 비용, 순수익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마 농사의 장단점과 수익성 썸네일
<고구마 농사의 장단점과 수익성>

 

고구마 농사의 매출, 원가, 수익성

 

* 총수입 (매출)

총수입(매출)은 300평 기준 3,456,606원으로 평당 11,522원 정도입니다. 상품화율은 95.2%로 약 5% 정도의 고구마가 상품화되지 못하고 폐기됩니다.

 

* 생산비 (원가)

원가 중에서는 모종과 시설비, 관리비 등이 포함된 중간재비가 903,406원으로 전체 매출의 2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간재에 토지 및 기계 임차료와 인부들 임금까지 포함된 원가가 경영비인데 1,632,174원으로 전체 매출의 47.2%입니다.

 

* 소득 (순수익)

300평 고구마 농사를 지으면 순수익은 1,824,432원으로 전체 매출 3,456,606원의 52.8% 수준입니다.

 

<고구마 농사의 경영비 및 소득>

 

 

이 자료를 보고 고구마 농사의 수익성이 너무 좋지 않다고 실망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위에서 고구마 농사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드렸듯이 연간 자가노동시간이 43.5시간으로 매우 짧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농사 초보가 접근하기 기 때문입니다.

 

 

고구마 농사 가구의 상위/하위 소득 비교

 

아래는 고구마 재배 농가를 상위/평균/하위로 나누어 수입과 경영비, 소득을 비교한 표입니다.

 

상위와 평균, 하위 가구 모두 경영비는 비슷한 반면 총수입의 차이는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농사가 잘 되어 가격 조건이 좋은 경로로 판매할 수 있다면 300평 고구마 순수익이 약 390만 원에 가까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구마 농가 상하위 소득 비교표>

 

고구마 농사의 장점

 

1) 고구마의 수요층이 넓고 판로도 다양해서  판매를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확 후 바로 생고구마로 판매하는 경우가 제일 많고, 고구마 가공업체에 납품을 하거나 직접 군고구마를 파는 경우도 있습니다. 겨울철 간식으로 꾸준하게 소비되는 고구마이기 때문에 가격도 어느 정도 잘 유지되는 편입니다.

 

2) 고구마 농사의 순수익은 평당 약 11,000원 수준으로 다른 작물에 비해 높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일하는 시간과 강도, 농사의 난이도를 생각할 때 비교적 좋은 편입니다.

 

3) 고구마 농사는 시설하우스가 아닌 대부분 노지에서 키우기 때문에 시설 설치 비용이 적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서 재배 난이도가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4) 고구마 농사는 다른 작물에 비해 손이 덜 갑니다. 고구마를 심고 수확하는 시기를 제외하면 노동력이 많이 들지 않아 대신 다른 농사에 신경을 더 쓸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구마 농사를 더욱 편리하게 지을 수 있도록 기계 장비가 많이 개발되어서 고구마 농하가 더욱 쉬워지고 있습니다.

 

고구마 농사 모종 기계와 수확용 기계 사진
<고구마 농사 모종기계(좌)와 수확기계(우)>

 

고구마 농사의 단점

 

1) 고구마 농사의 가장 큰 단점은 연간 수입이 면적에 비해 높지 않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 단점은 몇몇 특용작물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농사를 짓겠다고 마음먹었다면 크게 고민할 부분은 아닙니다. 투입되는 노동량이나 초기 비용에 비하면 수익성은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포스팅 하단 실제 고구마 농사의 수익성을 보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2) 고구마의 면적 대비 수익성이 높지 않다 보니 넓은 땅에 대규모로 고구마 농사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고구마 농사를 크게 짓게 되면 넓은 땅을 임대하거나 구매하기 위한 비용이 들게 됩니다. 또한 혼자 고구마를 심거나 수확할 수 있는 면적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땅이 넓어질수록 인부를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많이 써야 합니다. 코로나 이후 농가에서 인력 구하는데 굉장히 고생하고 있기 때문에 고민을 해야 할 부분입니다.

 

3) 고구마는 실온에서 장기간 저장이 어려운 작물이어서 대량으로 재배할 경우 저온저장창고가 필수입니다. 저온저장창고는 냉동기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3평 이하 작은 평수는 평당 200만 원, 그 이상 평수는 평당 100~150만 원 정도입니다.

 

4) 고구마는 노지에서 키우다 보니 유해조수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멧돼지부터 고라니, 꿩, 들쥐까지 고구마에 피해를 입히는 동물들이 많아 이를 막기 위해 노력을 기울어야 합니다.

 

깻잎 농사의 수익과 장단점 - 귀농 추천 작물 시리즈 3편 (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