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정보

불법 농막 벌금과 이행강제금 얼마나 나올까요?

by BongNamYI 2022. 7. 25.
반응형

최근 농막은 세컨드 하우스, 소형 전원주택으로 인기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지자체가 불법 농막을 규제하기 시작하면서 벌금과 이행강제금, 형사 고발 등 처벌을 우려하시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농막을 규제하고 있는 농지법과 건축법을 살펴보면 대략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법 농막 벌금과 이행강제금 썸네일
<불법 농막 벌금과 이행강제금 부과>

 

농지법을 위반한 불법 농막 벌금

 

농막은 농사를 위한 보조시설로 농지에만 지을 수 있습니다. 만약 설치한 농막이 농지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범위를 넘어서 불법으로 설치된 경우 대지에만 설치 가능한 일반 건축물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이 경우 농지를 대지로 전용허가를 받지 않고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해당하여 농지법 제34조 1항 및 제58조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

 

1. 농지법 제58조 1항

농업진흥구역 내에서 농지전용허가 없이 농지를 전용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토지의 개별공시지가에 따른 토지가액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

 

2. 농지법 제58조 2항

농업진흥구역 밖의 농지를 농지전용허가 없이 전용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토지의 개별공시지가에 따른 토지가액의 100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 이하의 벌금

 

농막 설치하면서 임야를 훼손했을 때 산지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도 있습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농막은 논과 밭과 같은 농지에만 설치 가능한 것으로 임야에 설치하는 농막은 관리사라고 부릅니다. 이 관리사는 최대 15평까지 설치가 가능한데 이 관리사를 설치할 때 불법행위를 하는 경우 보전산지는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준보전산지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농지전용허가에 관련된 처벌은 강력하지만 주로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아래에서 설명하는 건축법 위반으로 벌금 부과 및 이행강제금, 형사고발이 주로 이루어집니다.

 

 

건축법을 위반한 불법 농막 벌금

 

가장 많은 사례는 농막을 신고하지 않고 설치하는 경우입니다. 건축법 제20조 및 제111조는 농막과 같은 가설건축물을 미신고 또는 허위 신고한 경우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보통 지자체에 따라 3만원에서 10만 원 내외까지 벌금을 내게 한 후 신고를 진행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농막에 필수적인 전기와 상하수도를 설치하려면 농막 신고필증이 있어야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급적 신고를 빨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는 한전에 농막 신고필증을 들고 가서 불입금을 낸 후 전업사를 방문해서 계량기 설치비를 내야 전기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때 농막 전기는 농업용이 아닌 주택용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수도는 각 시군구청 수도과에서 급수공사 신청서를 제출하면 되며, 만약 주변에 이용 가능한 상수도가 없으면 동네의 지하수 개발업체를 찾아 지하수를 끌어올려야 합니다.

 

 

시정명령

 

불법 농막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는데 대부분 시정명령이 두 차례 정도 먼저 나옵니다. 이 시정명령에 따라 원상복구 내지 불법적인 요소를 없앤 후 다시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시정명령이 나왔을 때 모두 이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공무원의 특성상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아래의 이행강제금 및 형사고발, 재산압류, 행정상 대집행까지 모두 규정에 따라 진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시정명령이 처음 나왔을 때 바로 원상 복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행강제금 및 형사고발

 

자발적으로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으면 강제하기 위해 이행강제금을 부과합니다. 이 이행강제금의 계산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통 농막의 경우 이행강제금이 적게는 100만원대, 많게는 300만 원에서 500만 원까지도 나옵니다. 이행강제금은 불법 농막을 보유하기 어려울 정도의 금액을 부과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큰 금액이 나옵니다. 예전에는 5회 정도 부과하면 더 이상 부과하지 않았지만 현재는 1년에 2번까지 시정명령을 이행할 때까지 계속해서 부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행강제금은 소멸시효도 없어 일단 부과되면 무조건 내야 합니다.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은 법적으로 이행강제금 부과와 동시에 형사 고발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행강제금이 나오기 전 시정명령이 나왔을 때 바로 원상복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산압류 및 행정상 대집행

 

이행강제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재산을 압류당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자체에서 직접 시정조치를 이행한 후 그 비용을 농막 소유자에게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행정상 대집행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